교과교실제

교과교실제 컨설턴트의 임무

인천혁신교육 선구자 2010. 10. 5. 10:48

교과교실제 컨설턴트의 임무

 

교과교실제 운영학교 컨설팅 주요 포인트

- 학교운영 부문 : 매뉴얼, 학교운영비 지출의 적정성 등

-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부문 : 교육과정 혁신학교로서 주도적 역할

- 교무조직 및 행정부문 : 조직도, 적정 교원 등

- 교수-학습 지원 부문 : 교과교실, 교구 및 기자재 활용 등

- 수준별 수업운영 및 평가부문(수준별 교재, 학습집단, 평가방법 등

- 학생생활 및 진로지도 부문(진로계획, 가이드, 전문 상담교사 등)

- 학부모 및 지역사회의 홍보활동 부문(지속적 홍보, 협력체제 등)

 

유형별 컨설팅 주요 포인트

<A형>

- 교과, 학생, 학교실정을 고려한 탄력적인 수업시간 운영

- 학교의 실정에 맞게 특색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수업시수 편성 및 운영

- 고교 1학년 교과의 이수시기를 전 학년으로 확대

- 재량활동과 특별활동 통합운영

- 학교의 실정에 맞는 학년, 학기별 집중이수제와 블록타임제 실시

- 고교 2,3학년 선택과목 신설 및 연계를 고려한 학생 진로능력에 적합한 특성화된 교육과정 편성 운영

- 전 학년 수준별 이동수업 3교과 이상 실천

- 기초 및 심화과정 도입 등 고교 교육력 제고 방안 적용 가능성 등

<B-1형>

- 10학년 과학, 수학 보충-심화과정 및 과학 교양과목 1과목 개설

   : 정규 교육과정에서 보충-심화 및 과학 교양과목을 포함하여 과학14 단위, 수학 12단위 이상 편성

- 전학년 수학과목 +1학급 수준별 이동수업

- 10학년 연간 60시간(교과 외) 과학체험학습 기회 제공

- 과학중점학교로 지정된 경우 11,12학년 고학중점과정 개설 등

<B-2형>

- 영어과 교육과정의 자율적 운영(기존 영어 수업시수 확대 실시 등)

- 원칙적으로 전 학년 +1학급 수준별 이동수업

- 실용 영어 수업을 위한 교재 개발

- 방과 후 영어교실 수준별 무학년제 운영

- 영어 교과교실 수업 및 운영모델 개발

- 말하기, 쓰기 등 회화 중심 평가 운영 등

<C형>

- 학교의 실정에 맞게 특색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수업시수 편성 및 운영

- 학교의 실정에 맞은 학년, 학기별 집중이수제

- 재량활동과 특별활동 통합운영

- 고교 1학년 교과의 이수시기를 전 학년으로 확대

- 블록타임제 실시

- 전 학년 수준별 이동수업 3교과 이상 실천

 

교육공간계획 컨설팅 주요 포인트

교사의 협력제제를 촉진하고 지원할 수 있는 공간

  -집단으로서 교사의 힘을 이끌어 낸다

  -탄력적인 집단편성에 대응한다

  -여러 교사가 학생을 지켜본다

▷ 다양한 미디어를 가까운 곳에 갖출 수 있느 공간

   -주체적인 학습, 종합학습, 개개인의 학력, 정보활용능력(도서, 교재,기기,컴퓨터 등)을 학습과정에 수시로

     이용할 수 있다.

   -시설환경이 갖추어 지면 교사가 학생에게 구체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을 유인하는 환경

   -교과의 매력과 과제를 전달하고 학습으로 이끌어가는 교재, 작품게시, 전시회 등 자신의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 사람간의 관계를 낳는 공간

   -학급, 학년간 유대관계 : 자기중심적 태도 =>공동체 중심으로

     (학생-교사, 학교-지역사회(학부모))

 

교과교실제 만족도 향상에 얼마나 노력 ????

1. 학생들이 무엇을 요구했으며 어떻게 조치했는지?

   - 학생들의 의견수렴을 충분히 반영하도록 컨설팅

   - 학생들의 현실적으로 합리적인 요구사항에 대한 답과 개선

2. 교과 교실의 기자재 구입 및 확충에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 지나치게 시설구축에만 집중하여 예산낭비가 없도록

3. 연구실 활용 등 시스템은 잘 갖추어져 있는지?

   -연구실을 활용한 활발한 협의, 연수, 연구 활동

4. 교과교실을 활용한 수업의 질 향상에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교과교실에서의 준비된 수업(관습적인 수업형태에서 벗어나도록)

   -5분 후에 들어오지 않는 알찬 수업 전개

 

컨설팅 내용 : 목록화 하여 사전에 충분히 분석

   1. 교무조직 및 생활지도

   2. 교육과정(부분적)

   3. A,B,C형에 대한 교육과정 전문지식

   4. 교육과정이 자주바뀜으로 인한 어려움

     - 예전 지식만 가지고는 낭패

     - 새로운 지식 습득하여 컨설팅

5. 새로운 교육과정의 수정 보완 사항에 대해 이메일로 사전 전송요청

   - 미리공부하여 학교방문

   - A형: 학기당 이수과목 수 8개 과목/학교 수업시간 탄력적 운영/20% 범위내 자율증감운영

 

 

▶ 교과교실제 교육과정 분석

1. 학교특징 파악 : 자율학교, 예술체육중점학교, 연구학교

2. 교육과정 편제표 확인분석

  -교과편제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 강화)

  -수준별이동수업

3. 기타 특이사항

  -집중이수 실시교과

  -블럭타임 운영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균형(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 2009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일반모형

4. 강사 수의 적절성?

5. 신설과목 실시 할 때 시도교육청 승인 받았는지?

6. 지나치게 국,영,수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지는 않는지?

 

  

  위 내용은 2010 교과교실제 시도별 중앙컨설팅단 워크숍(2010.7.2~7.3 건설경영연수원)때 받은 연수내용 중 일부를 요약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