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체부위의 절단사고를 당한 경우: 요약 >
1. 깨끗한 수건이나 거즈로 상처부위 눌러서 압박(상처 전체 부위)
2. 상처부위는 심장보다 높게 해줄것
3. 절단부위 보존
- 절단부위가 이물질이 묻어있을 경우는 흐르는 물이나 식염수로 씻음
- 절단부위에 묻은 물을 깨끗한 손수건으로 꽉 짜아서 싸둠
- 손수건에 싸아둔 절단부위를 비닐봉지에 담아 얼음물에 보관 ( 물과 얼음 1:1 비율로 4도 이하)
- 절단부위는 절대 얼음과 직접 닿지 않도록 할것 ( 세포 손상 우려)
4. 즉시 병원으로 이동하여 봉합수술 (4-6시간 이내/ 얼음물에 보관경우 18시간 이내 가능)
< 상세설명 >
- 해야 할 일-
1. 직접 압박으로 지혈을 하고 사지를 높게 올린다.
-마른 드레싱이나 큼직한 몇겹의 천을 댄다.
-처치자는 스스로 감염에 보호되도록 한다.
-지혈대가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으면 만약 사용한다면 조직, 혈관, 신경이 파괴되기 때문에 재 접합에 사용될 수 없게 된다.
2. 쇼크에 대비한다.
3. 절단 부위를 찾아 되도록 부상자와 함께 가지고 가야 한다. 그러나 부상자가 많고 주변이 어두워서 절단 부위를 찾을 수 없고 부상자가 많거나 일반인이 부상자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누군가에게 부탁을 해서 부상자가 떠난 다음 절단 부위를 찾아 병원으로 가지고 오도록 한다.
4. 절단 부위를 처치할 경우
-가능하면 깨끗한 물로 씻어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문지르지 않는다. 절단된 신테 부위는 씩을 필요가 없다.
-절단 부위를 살균한 마른 거즈나 기타 깨끗한 천으로 싼다.
-그리고 비닐봉지나 방수 용기(컵이나 유리잔)에 담는다.
-절단 부위를 담은 비닐봉지나 용기는 얼음위에 놓는다.
5. 즉시 의사에게 보인다.
절단 부위를 차게 보관하지 못하고 6시간이 경과되면 살릴 가능성이 희박해진다. 제대로 차게 보관한 경우 최장 18시간까지 생존이 가능하다. 근육은 피가 안통하면 4~6시간 안에 기능을 상실한다.
![]() 잘려나간 부분의 처지 |
주의: 하지 말아야 할 일
-잘려나간 부분이 소생 여부나 너무 작아서 접합이 불가능할 거라는 등의 판단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판단은 의사에게 맡긴다.
-잘려나간 부분은 젖은 드레싱이나 천에 싸지 않는다. 젖은 물질에 싸 놓으면 조직이 물에 젖어 부드러워지므로 접합이 어려워진다.
-잘려나간 부분을 얼음 속에 묻지 않고 얼음 위에 놓는다. 동상이 생긴 피부는 접합을 할 수 없다.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피부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 즉 힘줄이나 몸에 간신히 붙어 있는 부분을 자르지 않는다. 그 부분을 제자리에 다시 맞춰 놓고 소독한 마른 드레싱이나 깨끗한 천으로 싸고 그 위에 얼음을 댄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정주름 예방 7계명 (0) | 2009.01.14 |
---|---|
뱀에 물린경우 응급처치 요령 (0) | 2008.09.22 |
피를 많이 흘린 사고 응급처치 요령 (0) | 2008.09.22 |
<건강상식> 감기에 관한 10가지 잘못된 상식 (0) | 2008.07.19 |
< 건강상식> '더 나은 섹스의 비결' 보고서 (0) | 2008.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