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탐구

[스크랩]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인천혁신교육 선구자 2013. 10. 10. 14:07

 

 

 

 

 

 

 

 

 

 

 

 

 

 

노르망디 상륙작전 (Operation overload)

작전 배경: 프랑스는 독일에 항복, 영국군은 독일군에 밀려 본국으로 철수, 영국군은 대륙에 대한 지상전을 준비, 소규모 기습작전 감행

태평양에서는 일본, 유럽에서는 독일과 전쟁을 치루고있던 미국은 유럽우선주의를 선택하게되고 대규모 대륙상륙작전 계획

그러나 영국은 적과 오랜 대치상태에서 많이 지쳐 있었고, 미국은 대규모 지상군을 확보하지 못하여 작전을 고려

미국은 영국군과 함께 1942년에 북아프리카 상륙작전(operation Torch)을 감행해서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경험 쌓음

 

세부 작전 계획:

연합군측

1943 5월 아이젠하워 장군을 중심으로 오버로드 작전을 구상

노르망디 해안으로 결정

이유:대규모 부대를 수용할 수 있는 교두보 확보가 용이, 독일군의 수비 상태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

전략: 기만전술을 사용, 다수의 독일군대를 파드칼레 해안에 집중시키는데 성공

 

독일군측

연합군과 전력은 비슷했으나 연합군보다 훨씬 더 비효율적인 공동작전을 보일정도로 군대가 조잡했음

전략:롬멜은 선형방어구축을 통해 연합군의 제공권 확보 저지 하려고 함 이에 맞서 룬트슈테트는 내륙 후방에 두었다가 연합군이 내륙으로 진출할때 공격하려고 함. 결과적으로 히틀러의 명령에 의해 10개 기갑부대를 3개 집단으로 묶어 해안과 내륙 사이의 중간 지점에 배치.

 

전개:

연합군은 6 5일 일몰 때 작전을 개시해 상륙해안을 향하여 이동, 독일의 연안 조기 경보체계를 조직적으로 공중 폭격

상륙용 주정과 수륙양용 장갑차가 해상에 상륙, 영국 제 6공수사단을 상륙지역동쪽, 미 제101공수사단을 서쪽으로 낙하하여 양측방을 교란일으키면서, 2일에 파상 상륙돌격으로 보병,기갑부대,공병부대가 해안선을 장악, 하루만에 교두보를 확보함으로써 성공적인 상륙작전을 수행

 

결과:

작전에 의해 연합군은 다수의 전력을 잃어 진공계획을 수개월 간 늦추게 되었으나, 연합군은 손실둰 전력을 보충 할 수 있었고 독일군은 결정적인 패퇴와 손실을 입어 전쟁종결의 가속화 

또한 방어를 굳히지 않고 공세에 나섰던 독일군의 핵심이 보급이 끊어져 궤멸당하였기에 진공에 의한 연합군의 피해는 최소한으로 감소

독일은 동부전선에 군을 돌릴 여력도 없어졌기에 소련의 진격속도를 빠르게 만드는 결과로 이어짐

 

출처 : 군대·무기
글쓴이 : 행동하면서 실천하며 원글보기
메모 :